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눈이 뻑뻑하고 아픈 안구건조증 증상과 치료법

반응형


 

눈이 뻑뻑하고 아픈 안구건조증 증상치료법 알아보자.


요즘같은 겨울철 다들 난방으로 따듯한 겨울 보내고 계시죠? 추운 날씨에 난방은 필수적이지만, 우리 피부와 눈, 기관지에는 몹시 안 좋을 수 있다는 점,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뜨거운 바람을 장기간 쐬게 될 경우 눈 속 수분을 증발시켜 흔히 말하는 안구건조증이 유발 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이 지속되게 되면 각막 손상은 물론 결막 손상까지 불러올 수 있어 시력 저하가 나타나게 되어 주의하셔야 합니다. 오늘 아이플러스 안과에서는 안구건조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인공눈물의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하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구건조증은?


안구에 눈물이 부족하게 되서 안구가 건조해 지는 증상을 말하고 있습니다.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게 될 경우 눈이 뻑뻑해져 각막의 손상과 눈의 시림, 자극감, 건조감 등과 같은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극에 더딘 분들이라면 별다른 느낌을 받지 못하겠지만, 예민한 분들이라면 심한 눈 건조감, 시림 등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만약 소프트렌즈를 착용하시는 분들의 경우 렌즈가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요즘같은 난방철에 더욱 안구 건조감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눈이 뻑뻑하고 시린 질환의 증상은?


단순히 눈이 뻑뻑하다, 시리다, 안구가 말라서 건조하다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 증상의 공통적인 특징은 눈의 불편함 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끈적한 눈꼽이 생기는 등, 가려움, 충혈, 바람이 불어도 눈이 따갑다 등 안구가 예민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장기간 독서, 컴퓨터 사용, 휴대폰 사용을 하시는 분들에게서 주로 나타날 수 있는데요. 실내에서 건조한 바람을 장기간 쐬었을 경우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안구건조증 치료 방법은?


안구의 이물감, 시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환경적 치료, 수술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수술에 대한 불안감, 걱정 때문에 쉽사리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일반화된 치료법은 인공눈물로 만들어진 눈물안약의 사용 입니다. 건조한 외부 환경으로 인해 안구가 말라가기 때문에, 부족한 눈물을 보충하는 눈물안약 사용으로 안구의 윤활을 돕고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공눈물의 정확한 사용법!


인공눈물을 사용하실 때 보통 그냥 눈에 넣으면 된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검은자 위에 인공눈물을 떨어트리기 보다는 흰자위 쪽으로 투입 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인공눈물 넣은 후 눈을 깜빡이고 30초 정도 눈을 감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 인공눈물은 다른 사람들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요. 혹시라도 인공눈물이 오염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렌즈를 착용하신 분들도 인공눈물을 주로 사용하시는데요. 이는 인공눈물이 말라 렌즈와 눈이 밀착 될 수 있어 위험하기 때문에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플러스 안과에서 안구건조증의 증상, 치료법, 인공눈물의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렸는데요.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곳을 피하고, 습도가 약간 높은 곳에서 지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눈을 자주 깜빡거리며 난방기의 바람이 직접적으로 눈에 닿지 않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